window나 mac에 따라 os에 맞는 platform packages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실행파일을 실행합니다.
Next> 눌러주세요Location(저장 위치)를 지정하거나 하지 않는다면 그냥 Next>를 눌러주세요바탕화면이나 시작메뉴등에 아이콘을 넣을지 여부인데 저는 자주 사용하므로 전체 선택후 Next>를 누릅니다.설치되는 동안 네트워크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길수도 있다는데 그래도 진행하겠냐라고 물어보는데 Yes를 눌러 설치합니다.Install 눌러서 설치중간에 관리자 권한 요구하는데 (윈도우기준) 동의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Oracle VM virtualBox를 실행하게 되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리눅스에는 크게 CentOS나 Ubuntu가 있는데 편하신걸로 iso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줍니다. (참고: CentOS 패키지 관리자 명령어는 yum이고 Ubuntu는 apt-get입니다.)
다운로드에서 각 아키텍쳐에 맞는 다운로드를 선택합니다(본인 기준 pc: window)클릭하게 되면 ISO 이미지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주소들이 있는데 이중들 중 아무거나 선택하면 다운로드페이지로 이동됩니다..iso에 대한 파일을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해 가상머신 하나를 생성합니다.이름은 자유롭게 생성하시고 ISO에 맞는 버전을 선택해줍니다. (이름에 맞게 버전이 자동으로 완성됩니다.)해당 VM에서 사용할 메모리의 크기를 지정해줍니다. (여유가 있는 분들은 많이 할당하셔도 좋습니다.)해당 가상머신에서 사용할 물리적인 저장소(가상 디스크)를 설정해줍니다. (없는 상태이기에 새 가상 하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VDI선택후 다음을 눌러줍니다.디스크의 크기를 동적으로 할당한것인지 고정된 크기로 사용할것인지 선택합니다 (저는 동적할당을 선택하였습니다.)원하는 저장소 크기를 설정하고 만들기를 눌러줍니다.(저는 여유 메모리가 넉넉해서 30기가로 설정하였습니다.)CentOS 가상머신이 만들어졌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영역을 더블클릭하거나 시작(T) 버튼을 눌러 가상 머신을 실행합니다.
실행할 디스크를 지정해줍니다. 위에서 빨간색 영역을 통해 지정을 해줍니다.추가를 누르고 위에서 다운로드 받은 CentOS8.iso파일을 선택해줍니다..iso파일을 누르고 열기를 누릅니다.
그럼 생성된 디스크를 누르고 선택버튼을 눌러줍니다.iso파일을 지정하고 가상머신을 시작해주세요부탕이 시작되면 설치에 대한 진입점으로 들어가게 됩니다.방향키로 이동해 Install CentOS Linux 8이 흰색이 되도록 선택하고 엔터키를 눌러줍니다기다리고 나면 설치 마법사가 나옵니다.언어설정을 해야하는데 korean 으로 검색하면 한국어가 나오는데 선택하고 계속진행을 눌러줍니다.
우선 root 비밀번호 먼저 설정을 해줍니다.
자신이 기억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완료를 눌러줍니다(root 비밀번호는 중요하니 까먹지 않도록 합니다)설치 목적지를 눌러줍니다최초에 만들었던 가상디스크를 선택후 완료를 눌러줍니다.체크표시가 되면 선택된겁니다. 완료를 눌러주세요다시 돌아오면 설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설치 시작을 누르면 설치를 시작합니다시간이 지나 설치가 완료되면 시스템 재시작을 눌러줍니다
재시작이 되면 초기 설정화면이 뜹니다
라이센스 정보를 눌러줍니다동의후 완료를 눌러줍니다다시 돌아오게 되면 설정 완료 버튼을 누를 수 있습니다. 설정 완료 버튼을 눌러주세요위치정보 설정인데 마음대로 하시고 다음을 눌러줍니다(계정연동도 건너뛰기 했습니다.)사용자로 설정할 이름을 만들어줍니다.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이제 시작을 할 수 있습니다.정상적으로 접속이 완료되었습니다.
터미널을 통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윈도우키를 누르고 터미널을 입력하거나 빨간색 네모클릭을 해주세요
리눅스 터미널 환경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pwd는 현재 위치되어 있는 디렉터리를 볼 수 있는 명령어이고
ls는 현재 폴더에 있는 파일과 목록들을 볼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계정의 폴더에 진입되어있습니다.
윈도우로 따지면 아래와 같이 사용자의 계정 폴더에 있는 곳입니다.
인터넷이 안될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설정을 확인해주세요)
이상태로 되어있다면 빨간박스영역으로 클릭해주세요정상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된 상태입니다.
su
su로 root계정으로 변경을 해줍니다
비밀번호는 맨처음 root에서 설정한 비밀번호입니다.
암호를 입력(무엇을 입력했는지는 보이지 않음) 하고 엔터를 누르게 되면 빨간색 영역처럼 root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